GA4 세그먼트 유형의 작동방식 이해하기
세그먼트 유형 별로 데이터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 구글 자연검색 유입의 실적을 측정하기 위해 조건을 '세션 소스/매체 = google / organic'로 하는 세그먼트를 만드는데 조건은 같고 세그먼트의 유형이 '사용자'와 '세션'으로 각기 다른 두개의 세그먼트를 만들어봅니다. 조건이 같음에도 세그먼트 유형에 따라 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구글 광고 대행사 '마케톨로지'입니다.
구글 Ads 광고주분들을 위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글 광고, 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태그 관리자에 대한 정보와 기초 사용법, 활용기법 등을 다룹니다.
세그먼트 유형 별로 데이터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 구글 자연검색 유입의 실적을 측정하기 위해 조건을 '세션 소스/매체 = google / organic'로 하는 세그먼트를 만드는데 조건은 같고 세그먼트의 유형이 '사용자'와 '세션'으로 각기 다른 두개의 세그먼트를 만들어봅니다. 조건이 같음에도 세그먼트 유형에 따라 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합니다.
마케톨로지의 GA4 설치 대행 업무는? GA4 기본 구성 및 페이지 조회, 이벤트, 전환 추적 설정, 잠재고객 생성, 탐색 분석 등 구글 애널리틱스4의 기능과 설정을 전문적인 수준에서 구현되도록 합니다. GA4 설치도 전문업체에 의뢰하세요 ‘마케톨로지’는 구글 광고 & 마케팅 솔루션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구글 공식 파트너사입니다. 쇼핑몰, 기업,
맞춤 이벤트란? ‘page_view’나 ‘click처럼 전체 사이트 태그만 설치하면 자동으로 수집 되는 이벤트를 ‘자동 수집 이벤트’라고 합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비즈니스 목적에 따라 직접 만들어서 수집하는 이벤트를 ‘맞춤 이벤트’라고 합니다. 맞춤 이벤트는 주로 아래의 4가지 방법에 의해 생성됩니다. 맞춤 이벤트 만드는 법 4가지 이벤트 스니펫 직접
구글 애널리틱스 GA4에서 전환 설정하는 방법은? 이벤트 목록에서 원하는 이벤트를 전환으로 표시하는 것 ‘전환으로 표시’ 옵션을 켬으로써 이벤트를 전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간단한 방법을 통해 GA4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전환으로 설정할수도 있고 별도로 생성한 ‘맞춤 이벤트’를 전환으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기본 이벤트는 전환으로
아래 포스팅에서 <a> 태그로 만들어진 링크의 클릭 이벤트 추적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4에서 링크 클릭 이벤트 추적하기 (구글 태그 관리자 사용) 이번 포스팅에서는 <a>가 아닌 <button>, <input type=”submit”>, <div onclick=”script”> 등의 요소에 대한 클릭 이벤트 추적을 알아 보겠습니다. 링크가 아닌 요소의 클릭 추적하기
UA의 기본 추적 태그가 페이지뷰만을 추적하고 클릭이나 스크롤 이벤트 추적을 위해서는 별도의 태그를 만들어야 했던 것과 달리 GA4 기본 태그는 별도의 태그 작업 없이도 클릭이나 스크롤 이벤트를 추적합니다. 데이터 스트림 설정에서 아래와 같이 ‘향상된 측정’을 켜 두기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클릭은 외부로 이동하는 링크(이탈 클릭)만,
GA4 추적 설정 간단 요약(웹 기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속성을 만들고 속성 안에서 웹용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합니다. 구글 태그 관리자로 이동한 후 데이터 스트림의 측정 ID로 GA4 구성 태그를 만듭니다. ‘All Pages’ 트리거를 연결한 후 배포합니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GA4의 기본적인 추적이 시작됩니다. 기본적인 추적은 페이지뷰
카페24나 워드프레스, shopify, wix 등 쇼핑몰 기능을 지원하는 솔루션에는 GA 추적 ID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GA 기본 추적과 전자상거래 설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지원되는 솔루션을 이용 중이면서도 그 사실을 몰라서 적용을 못 하거나 힘겹게 매뉴얼과 강좌를 뒤져가면서 하드코딩을 하고 계신 분들이 있을 수 있어서 그런 수고를
구글 애널리틱스란?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로그 분석 툴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웹 로그분석 툴입니다. Google Analytics, 줄여서 GA로 표기합니다. ‘애널리틱스’는 구글 로그분석 툴의 고유한 명칭이 아니므로 앞에 ‘구글’을 붙여 ‘구글 애널리틱스’로 부르는 것이 확실한 구분을 위해서 좋습니다. ‘애널리틱스’라는 명칭은 다른 로그분석 툴에서도 공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