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스크레이퍼(Skyscraper) 기법 – SEO 핵심 기법 소개

Skyscraper는 하늘을 긁을(scrape) 정도로 높은 초고층 빌딩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테헤란로나 미국의 뉴욕 같은 도시에 가면 흔히 볼수 있는 그런 빌딩들이죠.  구글에서 이미지 검색을 하면 대략 이런 그림이 나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Skyscraper 주변 건물들과 높이 차이가 엄청납니다. 이 스카이스크레이퍼가 SEO와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2023-02-21T21:29:58+09:00By |Categories: SEO|Tags: , , , |

구글 광고에서 SEO의 중요성

사이트를 애드워즈에 알리는 작업 일반적으로 광고주들이 궁금해 하는 것은 애드워즈 광고를 진행하면 웹사이트의 구글 상위노출 순위가 개선 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본론으로 넘어가기 전에 이 질문에 간단히 답해 보면 사이트의 SEO 수준에 따라 좋거나 나쁜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애드워즈의 역할은 사이트를 평가할 사용자들을 웹사이트로 많이 유입시키는

SEO 검색엔진최적화의 효과

SEO의 목적은 구글 상위노출에 있다 구글 상위노출에 성공하면 유료 광고에 버금가는 광고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때문이다 구글 검색결과는 유료광고와 자연검색(무료) 결과로 이뤄져 있다. 키워드에 따라서 각각에 대한 클릭률이 달라진다. 상업적인 ‘키워드’의 경우 유료광고의 클릭률이 높고 정보 목적의 키워드인 경우는 자연검색(orgnic search) 결과의 클릭률이 높게 나타난다. 경우의

2021-12-23T11:02:43+09:00By |Categories: SEO|Tags: , , , |

SEO 피라미드 – 검색엔진최적화의 전체 과정 요약

SEO 피라미드 - 검색엔진최적화의 전체 흐름도 검색엔진최적화(SEO)를 할 때 어디서 부터 시작 하고 어디에 중점을 둬야 할지 몰라 당혹스러워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SEO피라미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할 업무와 점검사항들을 피라미드 구조로 간략하게 보여주는 작업 흐름도입니다. 과정은 피라미드의 최하부에 있는 '콘텐츠와 사이트의 구성'부터 시작해서 '키워드 연구', '링크빌딩',

‘키워드’에서 ‘사용자 의도(user intent)’로 이동하는 검색 알고리즘

사용자 의도(user intent)란 무엇인가? 검색어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숨겨져 있는 검색 의도를 사용자 의도(user intent)라고 합니다. 딸기잼이란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사용자의 검색의도(user's query intent)는 두 가지입니다. 딸기잼 만드는 법을 배우는 것 (know) 딸기잼 쇼핑몰을 찾는 것(go) 딸기잼을 검색하는 사람들 중 만드는 법을 찾는 사람이 80%, 쇼핑몰을

구글 상위노출 요소들 – 총정리 사이트 소개

  구글 상위노출에 관한 최근 게시물 하나를 소개할까 합니다. 2014년 8월 18일 backlinko.com 이라고 하는 사이트에 'Google’s 200 Ranking Factors: The Complete List'라고 하는 제목으로 올라온 게시물입니다. 우리말로 옮겨보면 '구글 상위노출을 위한 200가지 요소 : 완벽 정리' 정도가 될 수 있겠습니다. 제목이 뜻하는 바대로 작성자이자

2014 구글 품질 평가사 가이드라인(Google Quality Rater Guideline)

구글 품질평가사란? 구글품질평가사(이후 '품질평가사')는 '페이지의 품질' 및 '검색결과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구글의 외부인력들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수천 혹은 수만명의 품질평가사들이 활동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의 업무수행을 위해 제작된 가이드라인이 '구글 품질 평가사 가이드라인(Google Quality Rater Guideline)'입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수년전부터 온라인 상에 '유출' 혹은 '공개'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구글 SEO 마케팅

업데이트 : 2020년 8월 2일 아래 내용은 2014년 9월에 작성한 것으로 현재와는 차이가 큽니다만 일단 본문 내용은 수정하지 않고 그간의 변화에 대해  업데이트분을 추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해외쪽 - 일본, 미국,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구글 검색 및 디스플레이 광고를 진행할 때 이전과는 다르게 cpc가